Exhibition


닫힌 화면의 구멍들
: 유지영의 〈Colander〉 (2021)


— 오연진 (시각예술가)



 

Cupboard

2021. 11. 12. - 27.
디스위켄드룸, 서울 


유지영의 지지체는 행위의 주체와 대상이 모호한 “엎지른 물”1이라는 표현처럼 관통되거나 관통하는 지지체로, 수동태와 능동태의 경계선에 걸쳐 있다. 이 지지체는 이미지의 바탕인 동시에 따라서 이미지에 선행하는 이미지이다. 그것은 세계를 재현하는 투명한 창으로 고정되기 이전에 제 안에 담고 있는 이미지에 역으로 그림자를 드리운다. (혹은 드리워진다.) 작가가 직조한 그리드는 단순히 위상을 가늠하기 위한 가상의 좌표계가 아니라, 툭 불거져 이미지를 찌르고 나왔다가 형상과 배경의 관계를 역전시키며 단단하고 불투명한 존재를 과시한다. 내용물(이미지)은 이 불가해한 그리드를 오롯이 관통할 수 없고 오히려 통행로의 일부가 폐쇄될 때만이 작가가 설계한 새로운 회화적 공간이 열린다.

유지영이 세 번째 개인전 《Cupboard》(2021, 디스위켄드룸)에서 선보인 작업 〈Colander〉(2021)는 ‘거름망’ 혹은 ‘체’로 번역되는데, 그렇다면 이번 지지체를 통해 ‘걸러진’ 것은 무엇인가? 전작들과는 달리 이곳을 통과한 잔여물은 이제 거의 남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가지만 남은 앙상한 포도송이, 마른 체리 씨앗과 줄기들이 상징하듯 정작 알맹이는 모두 감추고 있는 듯한 백색의 평면은 마감새가 좋은 찬장처럼 견고하게 닫혀 있다. 그래서인지 제법 기능적으로 생긴 손잡이들이 달려 있는데, 닫힌 색면과 손잡이로 구성된 유지영의 화면은 언제나처럼 모순적이다. 이 표면을 열어젖히면 그 안에는 실제로 두 장의 나무판을 덧대어 만든 작은 틈새(달걀 형태로 음각된 구멍을 통해 엿볼 수 있다.)가 있을 테지만, 관객이 볼 수 있는 비가시적 지평은 그렇게 얇지만은 않을 것이다. 그 이유는 작가가 즐겨 취사선택하는 달걀, 컵, 씨앗, 달력, 원고지 등의 메타포가 감싸고 있는 내용물이 모두 유동적으로 움직이거나 증식할 수 있다는 공통된 전제에 맞닿아 있다. 육중한 물리적 레이어를 중첩해 벌려 놓은 한 뼘가량의 작은 틈새가 의미론적 상상력으로 무한해지는 시점에서 유지영의 화면은 기시감 없는 환영을 구축해낸다.

작가의 〈달력〉(2019) 연작에서 마치 마트료시카의 구조처럼 3차원 그리드 안에 전시되었던 달걀들은 이제 〈Colander〉에서 곡선형의 ‘문지방’에 아슬아슬하게 걸쳐 있는데, 이는 가벼운 동어반복으로서 작업 전반에 대한 초록으로 읽힌다. 유지영의 ‘거름망’은 때로 그 간격이 너무 촘촘해 그 무엇도 비집고 나올 수 없는 단단한 껍질 같고, 오점이라고는 없는 달걀의 완전한 형태처럼 용기로만 기능하기에는 조금 더 아름답다. 작가가 석고로 본을 떠 만든 달걀에는 실은 안과 밖의 구분이 없다는 사실을 관객이 흔쾌히 지나치듯, 그가 만든 지지체는 무결함을 내세워 이미지에 선행해 스스로를 닫아버릴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Colander〉에서 가장 이질적인 요소는 아마도 네 번째 패널의 작은 서랍으로, 세 번째 패널에서 암시된 틈새와 비등한 두께로 네 번째 패널에는 작은 서랍이 양각으로 튀어나와 있다. 정면에서 바라보던 시선은 이 지점에서만 가로막혀 조감적 시선만이 허용되는데, 이곳은 유일하게 ‘안’을 활용하는 공간으로서 바닥에는 말린 체리 씨앗 몇 알과 가는 줄기들이 놓여 있다. 표면을 따라 훑던 시선의 흐름은 깊이를 감지하는 중력의 방향으로 맺혀 떨어진다. 〈Colander〉의 화면에서 구현된 깊이는 표면의 너머를 뚫고 들어가기보다 표면을 따라 매달려 있기를 택한다. 정면으로 관통할 수 없는 차원에 90도 전치된 상태로 숨겨진 깊이는 그 고전적인 속성과는 반대로 지지체의 방향성을 환기하는 각주로 남는다.

유지영의 회화적 공간은 음각 혹은 양각의 물리적으로 이원화된 상태를 고집하면서도 이항대립의 묘한 불균형을 유발하며 존재한 적 없는 내용물을 암시한다. 열어볼 수 없는 찬장은 깨지지 않는 달걀처럼 그 경계 너머의 물리적 한계를 갖는 한편 비가시적 환영의 가능성을 함축한다. 따라서 섣불리 추상으로 분류하기에는 재현적 모티프에 의존하고 있는 그의 회화는 어쩌면 가장 지적인 형식의 트롱프뢰유라고 볼 수도 있지 않을까? 음각으로 도려낸 도상들로 가득 비워진 장막 말이다.


1 작가의 첫 번째 개인전 제목. (2018, 레인보우큐브갤러리)